인크로스에서도 다른 미디어렙사와 마찬가지로 인사이트를 제공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핵심적인 2022 하반기 업종 리포트에서 다룬 '가구 및 인테리어'에 관련된 정보를 요약을 해보았습니다.
MARKET
지금도 진행중이긴 하지만 작년 하반기부터 집값이 떨어지고 있는 추세라는건 다들 잘 알고 계실것이라 생각합니다. 이에 가구와 인테리어 업계 또한 관련 수요가 감소하고, 가구 원자재와 물류비 상승 등의 이슈로 인해 가구 및 인테리어 업체는 좋지 않은 실적을 내고 있다고 합니다.
USER
[가구 인테리어 정보 찾을 때 온라인을 채널 활용도 높다]
- 온라인으로 가구 및 인테리어의 정보를 찾는 비중이 80프로대로 높았으며 그중에서도 탐색 채널 1위는 인테리어 앱/웹, 2위 유튜브, 3위 포털사이트 검색 순으로 모두 온라인을 많이 이용하는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하지만 가구의 경우에는 오프라인으로 구매하는 경우가 많았고, 인테리어는 온라인의 비중이 높은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쿠팡에서 구매하는 비중이 높다고 합니다.
TREND
"홈오피스"
코로나 이후 재택근무가 활성화 되면서 코로나 이후에도 재택근무를 팬데믹수준으로 유지 20프로대, 계속 시행하겠지만 축소한다가 40프로대로 응답 됐으며 재택근무를 하더라도 일과 생활하는 공간의 분리가 필요하다 70%대로 거실에서 재택근무를 하는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습니다. 이와 관련한 공간 인테리어에 대한 수요는 당분간 지속적일것으로 보이는 상황입니다.
"퍼스널 인테리어"
인테리어도 유행에 따르는 것 보다는 자신의 취향에 맞춘 '퍼스널 인테리어'가 주요 인테리어 키워드가 될것으로 보이는 상황이라고 합니다.
가구업계도 마찬가지로 내 마음대로 커스텀하는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하는데, 대표적으로 신세계까사의 까사미아 비스포크가 대표적으로 꼽힌다고 합니다.
"피지털팝업"
오프라인과 온라인이 융합되는 '피지털' 관련 트렌드가 인테리어 및 가구 업계에서 팝업 스토어의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고 합니다. 대표적으로 한샘의 홈 리모델링 매장 리뉴얼 계획을 밝히며 리모델링 하우스에는 디지털 아트가 적용된 실시간 체험 공간과 자체 3D 설계 프로그램 홈 플래너 등 디지털 기술이 접목 될 예정이라 합니다.
MEDIA
2022년 하반기 가구 및 인테리어 업종의 디지털 광고(DA)비는 약 363.1억원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20.6% 증가한 수치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모바일이 236억원, PC는 127.2억원으로 모바일의 비중이 갈수록 중요해지는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그렇다면 그 중에서 구체적으로 어떻게 광고비를 사용했는지를 살펴보자면
가정용 인테리어 광고비(벽지, 바닥용 장식재, 침구류 및 솜 등 포함)에만 98.4억원을 지출했으며 이는 지난해 대비 37.7% 증가한 수치라고 합니다. 이외의 가구류 광고비(가정용 가구, 침대, 사무용 가구 등 포함)는 지난해 동기 -9.5% 감소한 87.3억원을 기록했으며 가정용품 기타 광고비(가정용품 기업PR, 가정용품 제품 종합 등 포함)는 76.4억원으로 49.3% 증가한 수치라고 합니다.
이제 활용할 수 있는 미디어를 한 번 보자면
1. 당근마켓
당근마켓은 데이터를 보아하니 20, 30, 40, 50대가 나름 고르게 분포되어있으며 성비도 거의 50:50으로 '네카라쿠배당토'에 들어갈정도로 유명한 중고거래 어플이라고 할 수 있겠죠?
그 중에서도 40대 이용률이 25.1%로 가장 높았으며 전국 지면에 노출하고 구매력 높은 유저 타겟팅이 가능한 네이티브피드 광고 등 집행이 가능한 특징이 있습니다. (주요 상품 : 네이티브피드, 검색 광고)
2. 내집다오
개인적으로 업종 리포트를 보면서 처음 들어보는 어플이었는데 이 어플은 국내 최대 규모의 임대주택 및 주거 관련 종합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라고 합니다.
또한 남성보다 여성 이용률이 높으며 3050이 두루 사용하나 그 중 30대 이용률이 높은 편이라고 합니다.
사용자 유입이 가장 많은 앱 홈화면부터 주택 모집공고 탭에도 배너 광고 또한 집행 가능하다고 합니다. (주요 상품 : 앱 홈화면 상단, 모집공고 내 공고분석에 배너 광고)
3. 키즈노트
키즈노트는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유치원 및 어린이집과 학부모를 연결시키는 영유아 보육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라고 합니다. 자연스럽게 여성 이용 비율이 가장 높고 주로 3040대들이 이용중이며 브랜드 인지를 높을 수 있는 스플래시 및 아이콘 영역에 노출되는 메인 아이콘 광고 집행등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주요 상품 : 스플래시, 메인 아이콘, 종료 팝업)
출처 : https://www.incross.com/insight/?uid=449&mod=document
(2022-하반기) 인크로스 업종 리포트_통합본
(2022-하반기) 인크로스 업종 리포트_통합본
www.incross.com
'미디어렙사 트렌드 리포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크로스] 2022 하반기 인크로스 업종 리포트 [가전] (0) | 2023.02.08 |
---|---|
[메조미디어] 2023 트렌드 리포트 내용 요약 및 내 생각 (0) | 2023.01.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