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A10

구글애널리틱스(GA) 매체와 채널의 차이점 BY CHAT GPT4 매체(Medium) 는 웹사이트 트래픽 유형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며, 소스와 함께 사용되어 트래픽의 세부 정보를 제공합니다. 매체는 각각의 트래픽 유형(예: 유료 검색, 이메일 캠페인 등)에 대한 세부 정보를 나타냅니다. 채널(Channel) 은 트래픽을 고수준 그룹으로 분류하기 위한 개념으로, 여러 소스와 매체의 조합을 포함합니다. 채널은 웹사이트 트래픽의 전체적인 흐름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매체와 채널의 차이점 은, 매체는 트래픽 유형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반면, 채널은 트래픽의 고수준 분류를 제공한다고 이해하면 됩니다. 채널은 트래픽의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되는 반면, 매체는 트래픽의 세부적인 유형을 나타냅니다. 이들 지표를 함께 사용하면, 웹사이트 방문자들의 행동에 대한.. 2023. 4. 17.
구글애널리틱스 직접 만드는 맞춤 보고서 구글애널리틱스가 초보자에게 가지는 한계점은 주어진 보고서 밖에 볼 수 없다는 점을 꼽을 수 있다. 구글이 이 기능을 준비해두지 않은것은 아니라고 한다. 데이터를 구글 애널리틱스 관계자가 직접 조회하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다고 한다. 1. 구글 애널리틱스 내에서 '맞춤 보고서' 기능을 활용 2. '구글 데이터 스튜디오'의 보고서 자동화 툴 활용 우선 구글애널리틱스의 잠재고객-인구통계-연령에 먼저 들어가보면 연령별 지표를 볼 수는 있지만, 성별에 관한 데이터를 직관적으로 볼 수 없게 된다. 그래서 옆의 보조측정기준을 클릭해 측정기준을 1개 더 추가해 한 단계 더 다차원적으로 보고서를 볼 수 있다. 여기서 보조 측정기준에 '성별'을 검색해서 입력해 넣어보도록 한다. 그러면 이와 같이 측정기준이 2개가 생기게 .. 2023. 2. 21.
구글애널리틱스 고객 관찰을 위한 세그먼트 세그먼트(segment)란 마케팅에서는 '공통적인 성질이나 형태를 보이는 사용자 집단'을 의미하며 구글 애널리틱스에서는 소스/매체 보고서, 연령/성별 보고서,등 다양한 측정기준을 통해 데이터를 볼 수 있지만 필요에 따라 어떤 공통적인 고객의 데이터만 보고싶을 때 (ex. 결제를 완료한 사람들의 행동 패턴을 보고자 할 때, 네이버 검색을 통해 들어온 사람들의 행동 패턴을 보고자 할 때) 세그먼트를 정의해 그 데이터를 보면 또다른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다. 세그먼트의 두 가지 기능 특정 집단의 데이터를 집중적으로 보고 인사이트를 찾아내는 기능 (다른 세그먼트를 정의해 2개 세그먼트를 비교해 조회 가능) : ex. 네이버 검색을 통해 들어온 사용자와 구글 검색을 통해 들어온 사용자의 데이터 변동 추이를 비교 .. 2023. 2. 20.
구글애널리틱스 유입 경로 목표 설정 목표 설정을 통해 웹사이트의 결제 완료 페이지나 장바구니 페이지에 들어오는 행동을 전환 목표로 설정하여 다양한 측정기준별로 목표 전환율을 관찰하는 방법을 알아봤는데, 만약 여기서 결제 완료 페이지에 도착하는 전환율만 가지고 있다 가정했을 때 지난달 대비 전화율이 왜 떨어졌는지 또는 왜 증가했는지 유입 경로를 쉽게 파악하기 힘들것이다. (목표 설정에 대한 이전 글을 보고싶다면 하단의 링크를 클릭하세요!) 구글애널리틱스 목표 설정 목표 설정 대행사 같은 경우 고객이 상담을 위해 'DB 문의를 남기는 행위'가 가장 중요한 전환 행동이 되고, 그 밖의 최종 전환 행위에 영향을 끼치는 '장바구니 담기', '회원 가입' 등의 다양한 고 jinsoriya.tistory.com 이러한 부족함을 메울 수 있는것이 '유입.. 2023. 2. 11.
구글애널리틱스 목표 설정 목표 설정 대행사 같은 경우 고객이 상담을 위해 'DB 문의를 남기는 행위'가 가장 중요한 전환 행동이 되고, 그 밖의 최종 전환 행위에 영향을 끼치는 '장바구니 담기', '회원 가입' 등의 다양한 고객 행위를 "전환했다" 라고 표현한다. 구글 애널리틱스에서는 전환 행동을 데이터로 트래킹 하기 위해 일련의 설정 과정을 거치는데 이를 '목표 설정'이라 부른다. 목표를 별도로 만들어야 전환율을 측정할 수 있고 비즈니스에 맞게 올바른 목표를 설정하는것은 구글 애널리틱스에서 가장 중요한 작업 그래서 목표를 설정해보기로 한다. 그리고 새 목표라는 빨간색 버튼을 눌러 목표를 생성할 수 있다. 목표를 만드는 단계는 목표설정 - 목표 설명 - 목표 세부설정의 3단계로 나뉘어졌다고 하는데, 업데이트가 됐는지 목표 설명부.. 2023. 2. 11.
구글애널리틱스, UTM과 채널의 관계 UTM 매개변수는 자유롭게 작성할 수 있지만, 최소한의 규칙이 있는데, 바로 "구글 애널리틱스가 구분하는 채널과 동일하게 매개변수를 설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획득-전체트래픽-채널 로 들어가보면 측정 기준이 [Direct Channel Grouping]이라고 되어있는데, 이는 구글애널리틱스에서 임의로 구분해놓은 기본 채널 분류방식을 의미한다. 그리고 위의 사진에서 여러개의 기본 채널들을 구글애널리틱스는 어떻게 구분할까? 바로 UTM 매개변수 중에서 Medium 값을 기반으로 구분한다. UTM 매개변수에는 Source, Campaign ID, Medium, Campaign Name, Term, Contents가 있다. 그 중 Medium 값이 채널명과 일치할 때 채널 보고서에서 채널별로 설정할 수 있다. .. 2023. 2. 6.
UTM 기본 개념 및 조회하기 구글 애널리틱스에서 많이 쓰는 보고서 중 하나는 소스/매체 보고서라고 할 수 있다. (획득 - 전체보고서) : 웹사이트에 들어오는 사람들이 어디서 들어와서 어떤 행동을 발생시켰는지 알려줌 : 어떤 마케팅 채널에 광고비를 소진할 것인가를 정해주는 매우 중요한 보고서 역할을 함 만약 똑같은 2천만원으로 어느 매체에 광고를 집행하느냐에 따라 결과적으로 훨씬 더 많은 매출액을 발생시킬 수 있다. 데모계정의 소스/매체 데이터를 한 번 살펴보면 direct을 제외하고 bing/cpc에서 가장 많은 전환율이 나오고 있는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여기서 bing cpc 영역의 소재를 이미지 소재 A, 이미지 소재 B, 동영상 소재 C의 3개의 소재로 나눠 광고를 진행중이었다고 가정하면 여기서 3개의 소재 중 어느 소재.. 2023. 2. 5.
구글애널리틱스 세부 설정 구글 애널리틱스의 세부 내용을 설정하는 영역은 데이터 수집 처리, 세션 설정, 인구 통계 데이터 수집 처리, 자연 검색 소스 설정 이 설정 사항은 필수적인 사항은 아니지만 데이터를 좀 더 보기 편하게 해주는 가장 기본적인 설정 방법론 데이터 수집 처리 = 추후 구글 광고를 위한 데이터 수집 여부를 결정하는 영역 웹사이트에 들어왔던 사용자에게 다시 한 번 광고를 노출할 때 그 사용자의 데이터를 수집해 저장할 수 있게 설정하는 것 리마케팅과 광고 보고서 기능의 메뉴가 보이는데, 리마케팅은 리타겟팅과 유사하게 쓰이는 단어이며 광고 보고서 기능은 추후 구글 광고 집행 시 구글 광고의 데이터만 따로 볼 수 있게 설정하는 것이므로 둘 다 설정을 켜놓고 저장 그리고 데이터 보관 시간을 설정하기 위해 데이터 보관탭으로.. 2023. 2. 3.
구글애널리틱스 보기 및 필터 기본 설정 알아보기 (웹사이트(티스토리 등)에 추적코드를 삽입했다는 가정 하에 진행, 이는 구글에 서치하면 자세히 나오니 따라하면 됩니다요) 구글애널리틱스에서는 전체 데이터만 보는것이 아니라 관리자만 그 데이터를 볼 수 있도록 하거나, 관리자를 제외한 데이터를 보고 싶은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런 경우에 어떻게 보기와 필터를 설정하는지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보기 : 보고싶은 데이터를 '필터링' 해서 구분할 수 있게 해주는 단위 속성 하나당 보기는 최대 25개까지 만들 수 있음 처음엔 아마 밑줄 그은 부분과 같이 "전체 웹사이트 데이터" 라고 되어 있을 건데 이 전체 웹사이터 데이터 보기는 이미 생성된 보기이기 때문에 따로 만들 필요는 없고 '아무 필터링도 치지 않은 보기'라고 이해해주면 됩니다. 즉, raw data라.. 2023. 2. 2.
구글 애널리틱스 기본 속성 알아보기 OKR : 캠페인 기간의 최종 목표 KPI : 설정한 OKR이 잘 달성됐는지 측정하는 숫자로 치환 가능한 성과 지표 OKR을 어떤것으로 설정하느냐에 따라 측정해야하는 이탈율이나 전환율이 크게 달라짐 = 비즈니스 목표를 정해두지 않고 구글 애널리틱스를 시작하면 혼란이 온다 구글 애널리틱스를 통한 현대 마케팅은 고객들이 브랜드를 경험하는 가장 첫 번째 과정부터 마지막 전환까지 모든 절차의 이탈률과 전환율에 집중하는 방식이며 과정을 중시한다. (만약 KPI가 '최종 문의 남기기 버튼 클릭수' 라면 여기서 만약 전환율이 줄었을 때 이것만 보고 왜 줄었는지 알 수 없음) 데이터 기준으로의사결정을 하려면 OKR 과 KPI를 정립한 후 '전환율'을 기준으로 의사결정을 해야함 계정 : 하나의 비즈니스를 지칭하는 단위로.. 2023. 2.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