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UTM2

구글애널리틱스, UTM과 채널의 관계 UTM 매개변수는 자유롭게 작성할 수 있지만, 최소한의 규칙이 있는데, 바로 "구글 애널리틱스가 구분하는 채널과 동일하게 매개변수를 설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획득-전체트래픽-채널 로 들어가보면 측정 기준이 [Direct Channel Grouping]이라고 되어있는데, 이는 구글애널리틱스에서 임의로 구분해놓은 기본 채널 분류방식을 의미한다. 그리고 위의 사진에서 여러개의 기본 채널들을 구글애널리틱스는 어떻게 구분할까? 바로 UTM 매개변수 중에서 Medium 값을 기반으로 구분한다. UTM 매개변수에는 Source, Campaign ID, Medium, Campaign Name, Term, Contents가 있다. 그 중 Medium 값이 채널명과 일치할 때 채널 보고서에서 채널별로 설정할 수 있다. .. 2023. 2. 6.
UTM 기본 개념 및 조회하기 구글 애널리틱스에서 많이 쓰는 보고서 중 하나는 소스/매체 보고서라고 할 수 있다. (획득 - 전체보고서) : 웹사이트에 들어오는 사람들이 어디서 들어와서 어떤 행동을 발생시켰는지 알려줌 : 어떤 마케팅 채널에 광고비를 소진할 것인가를 정해주는 매우 중요한 보고서 역할을 함 만약 똑같은 2천만원으로 어느 매체에 광고를 집행하느냐에 따라 결과적으로 훨씬 더 많은 매출액을 발생시킬 수 있다. 데모계정의 소스/매체 데이터를 한 번 살펴보면 direct을 제외하고 bing/cpc에서 가장 많은 전환율이 나오고 있는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여기서 bing cpc 영역의 소재를 이미지 소재 A, 이미지 소재 B, 동영상 소재 C의 3개의 소재로 나눠 광고를 진행중이었다고 가정하면 여기서 3개의 소재 중 어느 소재.. 2023. 2.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