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취업 준비 자료

구글애널리틱스 보기 및 필터 기본 설정 알아보기

by 범호랑이 2023. 2. 2.

(웹사이트(티스토리 등)에 추적코드를 삽입했다는 가정 하에 진행, 이는 구글에 서치하면 자세히 나오니 따라하면 됩니다요)

 

구글애널리틱스에서는 전체 데이터만 보는것이 아니라

관리자만 그 데이터를 볼 수 있도록 하거나, 관리자를 제외한 데이터를 보고 싶은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런 경우에 어떻게 보기필터를 설정하는지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 보기 : 보고싶은 데이터를 '필터링' 해서 구분할 수 있게 해주는 단위 속성 하나당 보기는 최대 25개까지 만들 수 있음

구글애널리틱스-설정-보기-세팅-화면
구글애널리틱스 설정-보기-세팅 방법

처음엔 아마 밑줄 그은 부분과 같이 "전체 웹사이트 데이터" 라고 되어 있을 건데 이 전체 웹사이터 데이터 보기는 이미 생성된 보기이기 때문에 따로 만들 필요는 없고 '아무 필터링도 치지 않은 보기'라고 이해해주면 됩니다. 즉, raw data라고 봐도 무방하니 이 보기는 내버려두기로 하고

 

'테스트 보기'를 만들어 보려 합니다.

테스트 보기는 어떤 데이터 설정을 마쳤을 때 그 데이터가 제대로 집계되는지 검증하기 위한 용도로 이 테스트 보기에는 고객이 웹사이트에 들어올 때 생기는 데이터를 받는것이 아닌 테스트하는 구글 애널리틱스 관리자의 데이터만 들어올 수 있게끔 설정하는 용도로 만드려 합니다.

 

위의 사진에서 파란색의 보기 만들기 클릭합니다.

 

구글애널리틱스-보기-만들기-설정-화면
구글애널리틱스 보기만들기 설정 화면

그리고 위에서 정의한대로 보고서 이름은 [테스트 보기], 보고 시간대는 대한민국으로 만들어줍니다.

이렇게하면 끝?! 일 것 같지만 필터를 걸지 않고 이렇게 보기만 설정해주면 이는 전체 웹사이트 데이터와 다를바가 없기에 우리는 우리가 원하는 데이터만 필터링 해서 볼 필터를 걸어줄겁니다.

구글애널리틱스-보기-테스트보기-설정-후-필터-메뉴-화면
구글애널리틱스 보기 설정 후 필터 설정 메뉴

밑 줄 그은대로 전체 웹사이트 데이터 -> 테스트 보기로 바꾼 후, 필터로 들어갑니다.

그리고 빨간색 글씨의 필터 추가를 클릭

구글애널리틱스-보기-필터-추가-설정-화면
구글애널리틱스 보기 필터 설정 화면

필터 이름은 직관적으로 알아볼 수 있도록 정의하는 것이 좋아 저렇게 정의를 해놓았고

필터 유형을 보면 사전 정의됨 , 맞춤이 있는데

  • 사전 정의됨 : 구글 애널리틱스 사용자들이 자주 사용하는 필터들을 쉽게 조작할 수 있게 준비해놓은 항목
  • 항목 : 구글 애널리틱스 사용자가 직접 원하는 필터를 정의할 수 있는 유형

첫번째는 쉽게 "해당 트래픽만 우리가 지금 보는 보기에 데이터로 받아보겠다"의 의미인 트래픽 포함기준을 설정하고 두번째에서는 당연히 해당 사이트의 데이터만 볼 수 있게 설정을 해야하므로 해당 IP 주소에서 유입된 트래픽, 세번째는 일치를 클릭해줍니다

 

그렇다면 이 필터의 뜻은 무엇인고 하니

"내 IP 주소와 일치하는 트래픽만 테스트 보기에 포함하겠다"는 의미의 필터가 정의 됩니다.

(내 IP 주소를 잘 모르겠다면 구글에 "내 IP 주소" 라고 검색 한 뒤 첫번째 웹사이트에 들어가보면 나옴)

구글애널리틱스-보기-필터추가-완료-화면
구글애널리틱스 보기-필터추가 완료

그러면 이와 같이 테스트 보기에 내 IP가 아닌 다른 IP 에서 들어오는 사용자의 트래픽은 구글 애널리틱스 보고서에 포함되지 않음

여기서 우리 관리자의 데이터를 구글애널리틱스 데이터에서 제외하고 싶은 보기를 만들고 싶다면

보기의 이름은 [마스터 보기], 필터 이름은 내 IP 제외로 하며 아까 트래픽 포함 기준을 고른 것 첫 번째 단계에서 제외만 선택해주면 끝

 

구글애널리틱스-보기-필터-수정-설정-화면
구글애널리틱스 보기 필터 수정 셋팅 화면

그런데 여기서 맞춤을 한 번 활용해 보고자 모바일 사용자만 보는 [모바일 보기]를 한 번 만들어보겠습니다.

구글애널리틱스-보기-필터수정-맞춤-필터유형-세팅-화면
구글애널리틱스 보기-필터 수정 셋팅 화면

모바일 보기는 위의 보기 만들기를 클릭해서 만들어주면 간단하게 끝나고

필터를 클릭해서 만들기로 들어간 뒤 역시나 이름은 한 번에 알아보기 쉽도록 "모바일 트래픽만 보기 필터"로 정의를 내렸습니다. 그러고 난 뒤 필터 유형은 이번엔 "맞춤"으로 설정해 한번 모바일 사용자의 데이터만 얻으려 세팅을 해보았습니다.

(모바일만 보고자 하는 사용자라면 [데스크톱] 제외 필터나 [휴대기기] 포함 필터 중 무엇을 선택하던지 상관 없음)

필터 입력란에 기기 라고 입력을 하면 "기기 카테고리"라고 나오는데 이 영역을 선택한 뒤 휴대기기를 선택해 휴대기기를 통해 들어오는 사용자의 데이터만 보겠다고 정의를 내릴 수 있습니다.

 

사실 모바일과 데스크톱은 [기기 보고서]에서 별도로 구분해 볼 수 있지만, 보기는 필터에 의해 정의된다는 내용을 조금 더 숙지하기 위해 연습해보자고 책에서 그러네요

 

 

댓글